top of page

Return to a Cycle of Darkness 

The forest is an uncharted world that debilitates humans' perceptual abilities beyond culture and time. It is noteworthy that the Chinese character for 'forbidden (禁)' means looking at something invisible. The forest that is located somewhere in Jeju Island, hometown of the artist, was built as a firebreak against frequent fires by residents as part of instilling the spirit of water to control the spirit of fire. In fact, it was a universal method to cope with transcendental forces that people are facing as definite beings beyond cultural norms of folk belief. As time went by, the framework of this world view collapsed. And the forest suffered from the April 3 Jeju Uprising and also underwent negligence amid a development craze. Then, its conservational value was again in the spotlight under the name of protecting nature and at the center of interest and attention by those who safeguard ecological value and well-being. With the flow of checkered history, the existential value of the forest has changed and it, in essence, was a complete 'self-sustaining' entity that has existed in this way.  

Like ‘Grey and White Grey Strata,’ <Forbidden Forest> is also deviated from the linear structure of time. The place is where past, present and a distant future get entangled. The forest is tightly closed not to allow access to people. There may be an object in it, but in fact there is no object. That is a boundless swamp. The sense that is used for observing the swamp does not confine to sight. Dim light trickling over the deep green surface where a black shadow is cast, the scent leaking through the intertwined forest, and the damp surface of dark soil on which everything came down. The whole body senses all of this synesthetically. 

The forbidden land does not seem to allow hasty access even at a glance. The artist confessed that he decided to select the forest as an object, but could not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work at first. After all, he abandoned his desire to take the photograph of it. It was not until a transparent reconciliation took place that the forest let him have the misty feel. The work is free of representation and the color is still as it was. More important is that this is different from his previous works of art in terms of the layer of sight. He set the most important goal of embodying the object as complete as it is and tried to look at the whole picture by excluding minor elements.

-Wonseok Ko (Curator, Gallery Space), 2011

 

암흑의 순환고리로 회귀하다.

문화와 고금을 막론하고 숲은 인간의 지각능력을 마비시키는 미지의 세계다. 삼가함을 뜻하는 한자, ‘禁’자의 형성원리가 잇닿아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바라보는 것임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작가의 고향이기도 한 제주도의 어느 한편에 존재하고 있는 이 숲은 본래 수시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주민들의 대응으로서, 화기(火氣)를 다스리기 위해 수의 기운을 불어넣어주는 방책으로 조성된 것이었단다. 사실 이것은 민간신앙이라는 문화적 규정을 넘어 제한된 존재로서의 인간이 직면한 초월적 힘에 대응하는 보편적 방법론이었던 것이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이러한 세계관의 틀이 붕괴된 이후 이 숲은 4.3사건의 아픔의 과정을 겪었고 개발의 환상으로 열광하는 인간들에 의한 방치의 시간도 겪었으며, 자연 보호의 명목으로 보존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다시 생태와 웰빙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 관심과 주목의 대상으로 존재해왔다. 도도한 역사의 흐름을 지나며 그 존재에 덧씌워진 가치는 변화해왔으되 그 자신의 본질은 ‘스스로 그러하게’ 존재해 온 항상성의 완전체였던 것이다. 

이 ‘금단의 숲’도 ‘회백색의 지층’들과 마찬가지로 시간의 선형적 구조에서 이탈해있다. 그것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언제가 될지 모르는 미래가 갈기갈기 엉켜져 있는 곳이다. 이 숲은 사람의 출입을 허락하지 않을 기세로 단단하게 닫혀져 있다. 그 안에 어떤 대상이 있겠지만, 사실 그 대상은 없다. 그것은 무한의 늪이다. 그의 숲을 목도할 때 동원되는 감각은 시각에 국한되지 않는다. 검은 그림자가 드리워진 진녹색의 표면 위로 은은히 새어나오는 빛, 뒤엉킨 수풀 사이사이에서 뿜어져 나오는 내음, 모든 것이 내려 앉은 검은 흙의 표면에 배어 있는 음습한 물기, 이 모든 것들을 신체는 공감각적으로 감지한다. 

이 금단의 땅은 한눈에 보기에도 섣부른 접근을 허락할 것 같지 않다. 작업의 대상으로 결정했으나 처음엔 도저히 작업의 방향을 잡지 못했었다고 작가는 토로했다. 결국 그는 사진을 찍겠다는 욕심 자체를 버렸다. 그 투명한 화해의 과정 후에 비로소 숲은 그 은은한 질감을 허락했다. 이 작업 또한 연출이 전무하고 컬러도 있는 그대로이다. 더 중요한 것은 기존 작업들과의 시선의 층위가 다르다는 점이다. 그는 대상이 가진 완전체로서의 느낌을 구현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상정하고 여하한 미시적 요소들을 배제한 채 전체를 조망하고자 노력했다. 

​- 고원석, 2011 

 

                                        

bottom of page